[요약] 넷플릭스에 점점 볼만한 컨텐트도 없어져 가는 마당에 개인화가 무슨 소용이냐는 비판이 있다. 하지만 넷플릭스의 전략은 모든 라이브러리를 다 갖춘 온라인 비디오 대여점이 되는 것이 아니라, HBO 같은 TV 네트워크가 되고자 하는 것이다. 그리고 과학으로서의 개인화는 아직 부족하지만 계속 발전해가야 할 기술이다.
78,897가지의 넷플릭스 장르를 발견한 알렉시스 매드리걸(Alexis Madrigal)의 유레카 글을 비판하면서, 넷플릭스의 컨텐트 수급 문제와 개인화에 대한 펠릭스 새몬(Felix Salmon)의 회의적 글이 로이터에 올라왔다. 실은 심하게 공격적이다. 매드리걸의 글을 ‘말로 다 형언할 수 없는 넷플릭스 기술과 시스템화에 대한 경외의 글(Awestruck Narratives About Netflix’s Technology and the Systematization of the Ineffable)’이라며 비아냥대고 있다. 여기에 존 그루버(John Gruber)도 넷플릭스에 볼 게 없다는 식의 동조 분위기의 포스트를 올리면서 이 주장이 힘을 얻고…
[ Read more ] |
The post 그래서 넷플릭스는 망하게 될까 appeared first on VentureSquare | 벤처스퀘어.